인문학 읽기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능선 정동윤 2014. 2. 21. 08:42

 

[고전 소개]

전국책은 중국 전국시대 나라별 사료의 총집으로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진 중국고전 연구의 필수적인 자료이다. 서한西漢 성제成帝 때 유향劉向이 정리하여 12개국의 역사 고사를 33권으로 편정하였다. 전국 말기까지의 각 나라 책사들의 유세 기록, 역사 고사와 국별 흥망의 대사, 천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의 일화 등이 총망라된 500여장의, 방대한 잡저이다. 동한東漢의 고유高誘가 이 책에 대하여 주를 붙인 후, 북송北宋에 이르러 유향의 정리본과 고유의 주가 잔실殘失되자 증공曾鞏이 이를 교정하여 새로운 연구와 정리가 시작되었고, 남송南宋 초에 드디어 요굉姚宏이 증공의 교보校補를 근거로 ≪전국책교주戰國策校注≫가 간행되었으며, 동시에 포표鮑彪가 교주를, 다시 원대元代에 이르러 오사도吳師道가 중교重校를 거쳐 지금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2천여 년 전, 중국은 약육강식의 전국시대였다. 제각기 천하통일을 하기 위해 피로 물든 무력 투쟁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한편, 모든 나라가 활발한 외교 교섭을 전개해 생존을 도모하였다. 그와 같은 외교 교섭을 담당한 것이 ‘세객’이라고 불렸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진지하고 다양한 연구를 골똘히 했다. 그리하여 그들의 변설에는 상대를 설득시키고야 말겠다는 박력이 담겨 있다. 중국의 전국시대에는 이와 같은 ‘세객’들이 몇 천, 몇 만 명이나 활동하여 세 치 혀끝의 변설만으로 난세를 주름잡았다. 그들의 활약상을 기록한 것이 바로 이 ≪전국책≫이다.
“선비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힘을 다하고, 여인은 자신을 사랑해주는 사람을 위해 용모를 꾸민다.” 이러한 짧은 일화나 세객들의 권모술수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다.

[저자] 유향 (약 BC 79~BC 8)

자 자정(子政). 처음 이름 경생(更生). 한나라 고조(高祖)의 배다른 동생 유교(劉交: 楚元王)의 4세손. 젊었을 때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선제(宣帝 재위 BC 74∼BC 49)에게 기용되어 간대부(諫大夫)가 되었으며, 수십 편의 부송(賦頌)을 지었다. 신선방술(神仙方術)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황금 주조를 진언하고 이를 추진하다가 실패하여 투옥되었으나, 부모형제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였다. 재차 선제에게 기용되어 석거각(石渠閣: 궁중도서관)에서 오경(經)을 강의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홍범오행전론(洪範五行傳論), 설원(說苑), 신서(新序), 열녀전(烈女傳), 전국책(戰國策)과, 궁중도서를 정리할 때 지은 별록(別錄)이 있다.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1)춘추전국시대는 서주 이후 많은 제후국들이 천하를 놓고
쟁패를 벌이던 시대로 기원전 770년부터 221년이후 약
550여년의 긴 세월임. 춘추시대에는 공자를 비롯한
많은 사상가들이 출현하여 오늘의 중국 고전 철학이
배태되었다. 전국시대는 춘추5패의 하나인 중원의
진나라가 조,위,한으로 삼국 병립되던 기원전 403년부터
또 다른 진나라의 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를
일컫는다. 이 시기는 북의 연, 중원의 조,위,한, 서쪽의 진,
남의 초, 산동의 제를 합친 강대국7국 즉, 전국7웅으로 대표된다. 춘추시대는 청동기 시대, 전국시대는 철기시대이며, 그야말로 전쟁의 시기로 그나마 남아있던 주나라 천자의 상징성도
땅에 떨어진 난세였다
(2)군자절교,불출악성: 군자는 혜어질 때, 악담을 하지 않는다. 혜어지는 순간에 더욱 조심할 것. 君子絶交 不出惡聲 중산국의 여인: 계책으로 왕의 부인으로 들임. 아내로 취할 여자:임금의 말에 찬성만 하는 신하만 있어서는 안된다는 진진의 이야기. 영위계구, 무위우후:소진이 한 말. 복소훼란,고태분요: 너무 위험한 곳에 가지 말라.자기 삶을 우선 지켜낼 수 있는 지혜를 배우라. 장욕탈지,필선여지: 먼저 내가 가진 것을 주어야 함.빼앗으려면 먼저 주어야 함. 노자. 성대공자,불여중모: 큰 일을 계획할 때는 모든이의 말을 듣지 않음. 당단부단, 반수기화: 자를 것은 자르는 빠른 결단의 중요성. 전국책의 결론은 요불승덕,무불극문: 덕,문이 결국은 이김.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춘추전국시대는 서주 이후 많은 제후국들이 천하를 놓고
쟁패를 벌이던 시대이다. 기원전 770년부터 221년이후 약
550여년의 긴 세월이다. 춘추시대에는 공자를 비롯한
많은 사상가들이 출현하여 오늘의 중국 고전 철학이
배태되었다. 전국시대는 춘추5패의 하나인 중원의
진나라가 조,위,한으로 삼국 병립되던 기원전 403년부터
또 다른 진나라의 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를
일컫는다. 이 시기는 북의 연, 중원의 조,위,한, 서쪽의 진,
남의 초, 산동의 제를 합친 강대국7국 즉, 전국7웅으로 대표된다. 춘추시대는 청동기 시대, 전국시대는 철기시대이며, 그야말로 전쟁의 시기로 그나마 남아있던 주나라 천자의 상징성도
땅에 떨어진 난세였다.
전국책은 이러한 전쟁과 흥망성쇠가 명멸한 전국시대를 정리한 유향의 책으로 우리에게는 열국지 등으로 번역되어 알려지고 읽혀졌다. 백가쟁명,난세의 시대에는 무수한 인물과 고사가
전해지며, 그 나름 우리에게 인생의 가르침과 철학의 교훈을 준다. 이번 강의에서 가장 인상적인 고사는 맹상군과 풍환의
장협지탄이다. 식객의 고충을 이해하고 넓게 은혜를 베푼 맹상군의 관후함도 좋지만, 풍환이 고리대로 신음하는 민생을 알고, 농민들을 위해 채무를 탕감해주는 장면은 오늘날에도 시사점이 있다. 義라는 물건을 갖고 돌아오는 풍환과 이를 받아들이는 맹상군의 군자다움은 용호상박이다. 맹상군은 후일
제나라로부터 탄핵되고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울 때, 풍환이
탕감해준 설 땅의 농민들로부터 환대를 받았다.의는 이렇게
절체절명의 어려움에서 그를 추켜 올려주는 버팀목이 된다.
오늘날 의가 사라지고 패퇴되어 허명과 불의가 판 치는 것을 보며 전국책의 수 백년 지혜는 역사의 가르침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이를 누구는 알아보고 몸을 추수리겠지만 어리석고
교활한 자들은 이를 우습게 알고 맞서다 철퇴를 맞을 것이다.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죽은 말의 뼈: 연나라가 중흥하게 된 계기가 된 고사.연왕 쾌와 재상 자지에서 유래함.연왕 소가 천리마를 구함. 천리마를 찾아갔으나 이미 죽어 뼈를 사옴. 곽외 자신을 죽은 말의 뼈에 비유함. 인재를 천리마에 비유하고 곽외에게 누대를 지어 대접하고 소문을 냄. 인재가 국력이며 연나라 성장의 원동력. 관연의 망명: 제선왕이 관연을 총애하나 이후 미움을 받아 관연이 외국으로 망명하려 함. 식객을 불러서 따를 자를 모집했으나 아무도 따르지 않았다. 長鋏之嘆: 맹상군과 식객 풍환의 고사.채무문서를 불태움.설읍의 고리대금을 통해 식객 삼천을 길렀으나 흉년이 들어 어려워지자 풍환을 채무 돌려 받는 사자로 보냈으나 탕감하고 의라는 물건을 받아옴. 맹상군의 탄핵과 피신 후 죽음의 위기에서 설읍으로 가서 환대를 받음. 伯樂一顧:백락은 말을 잘  아는 사람의 의미. 믿을 만한 사람의 입을 빌려 가치를 높임. 아무리 천리마라도 백락을 만나지 못하면 자신을 인정해주는 자를 만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漁父之利:소대가 연나라를 위해 조나라에게 말한 것에서 유래.조개와 황새는 조나라와 연나라,어부는 진나라.兩虎相鬪는 같은 의미의 고사성어. 狐假虎威: 초선왕이 강을에 대해 물음. 이에 소해휼의 대답에서 유래함.호랑이와 여우의 우화. 상황을 인식하고 권위를 찾을 것을 종용함. 초선왕은 호랑이,강을은 여우임.어른을 모신자는 호가호위 해서는 안됨. 燕丹子의 고사: 태자 단은 진에 인질이 됨. 탈출하여 진의 천하통일 계획에 대비함. 국무(재상)가 전광, 전광이 형가를 소개함. 형가를 전별하며 두 개의 고사가 생김. 怒髮衝冠,虹霓貫日(기운이 성함, 무지개가 해를 뚫음,성공에 대한 기대).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탄탄칠신 :숯을 삼키고 몸에 옻칠을 함. 신념을 위해 몸도 마음도 아끼지 않는다는 의미.呑炭漆身 예양은 조양자에게 주인의(지백) 원수를 갚기 위해 나섬.실패함. 섭정과 그의 누나:엄수는 원한을 갚기 위해 섭정(자객)에게 청함. 한의 애후와 한괴를 죽임.攝政蛇足:위나라 공격은 사족과 같은 일. 情敵退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