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밴쿠버 섬의 미송 원시림 ▶ 울창한 미송 원시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캐나다 서부해안지역의 대표적인 원시림은 온대지역이면서 강수량이 높기 때문에 열대우림 성격이어서 온대우림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이 지역에는 웨스턴 레드시다, 웨스턴 햄록, 미송, 싯카 가문비나무 등이 많다. 특히 미송은 수피가 비.. 외국의 숲 2011.09.25
스톡홀름의 도시숲 ▶ 상공에서 본 스톡홀름 외곽의 숲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스톡홀름에는 많은 녹지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단지 국토가 넓기 때문이 아니라 자연을 귀중하게 여기는 마음가짐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대도시 외곽의 넓은 공원과 여러 공원을 연계하여 생태공원화하고 이들 전체.. 외국의 숲 2011.09.25
# 캐나다 뱀필드의 레드시다 원시림 # 캐나다 뱀필드의 레드시다 원시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뱀필드는 천혜의 자연조건으로 지구상에 얼마 남지 않은 자연 상태를 유지한 온대우림 지역이다. 주 수종은 시다(Cedar)와 웨스턴 햄록(Western Hemlock)으로 원주민의 자연의 원리에 따른 원시 용으로 지금까지 보존이 가능하였다. .. 외국의 숲 2011.09.25
# 스위스 꾸베(Couvet) 지역의 택벌림 # 스위스 꾸베(Couvet) 지역의 택벌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택벌림의 구조는 숲의 자연적인 발달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에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린나무, 중간크기 나무, 큰나무가 일정한 공간 내에 같이 자란다. 이때 자연 고사할 큰 나무를 수확하여 숲의 구조를 일.. 외국의 숲 2011.09.25
# 알프스 티틀리스(Titlis)의 산악림 # 알프스 티틀리스(Titlis)의 산악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알프스 티틀리스 지역의 숲은 해발에 따른 주요수종의 변화와 숲 구조를 볼 수 있고 특수지형에 나타나는 숲의 변화도 바로 눈앞에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재해방지시설도 체험할 수 지역이다. 특히 소도시인 엥.. 외국의 숲 2011.09.25
라인하르츠발트(Reinhardswald)의 참나무 원시림 라인하르츠발트(Reinhardswald)의 참나무 원시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독일 헷센(Hessen) 주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라인하르츠발트는 자연공원으로 지정된 산림지역으로 참나무 등의 활엽수가 많이 자라고 있다. 특히 방목림이 예술가들에 의해 일반인들에게 알려지고, 이에 따라 숲이 자.. 외국의 숲 2011.09.25
# 미국 브리슬콘 소나무(Bristlecone Pine)숲 # 미국 브리슬콘 소나무(Bristlecone Pine)숲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일반적으로 알려진 브리슬콘 파인(bristlecone pine)은 Pinus longaeva와 Pinus aristata의 2수종을 통칭하며 콜로라도에서 캘리포니아까지 이어지는 그레이트 베신(Great Basin)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미국 내 6개주에만 분포하고 있다. 서쪽.. 외국의 숲 2011.09.25
밴쿠버 섬의 와일드우드(Wildwood)와 밀너가든(Milner Garden)의 숲 밴쿠버 섬의 와일드우드(Wildwood)와 밀너가든(Milner Garden)의 숲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밴쿠버 섬 동부해안지역은 미송, 레드시다, 햄록이 주를 이루지만 원시림의 상태로 남은 곳은 그리 많지 않다. 캐나다에서 수목원으로 부차드가든이 유명하나 이에 못지않은 밀너가든과 보속성 원칙에 .. 외국의 숲 2011.09.25
캐나다 로키 산맥의 수목한계림 캐나다 로키 산맥의 수목한계림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산 정상부터 계곡부까지 이어지는 한계림지역의 모습은, U자형으로 파인 계곡의 중심에는 가문비나무·전나무가 혼효된 침엽수림이 가는 형태로 줄을 지어 자라고, 산록부에는 숲의 형태를 유지하며 중간 중간에 빈자리가 있다. .. 외국의 숲 2011.09.25
백두산 수목한계지역의 숲 백두산 수목한계지역의 숲 글 ·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배상원 백두산지역 고산지대 해발 2,000m 이상에서는 고산 야생화, 만병초 등이 자리를 잡고 있고, 해발 1,900m 지대는 수목한계선이 형성되어 사스레나무가 주수종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해발이 낮아짐에 따라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잣나무, 잎.. 외국의 숲 2011.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