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릉,태릉 가을의 한복판,비가 내리는 주말, 오랫동안 미루어 왔던 동구릉 탐방을 하기로 하였다. 한 달 내내 북아등을 결혼식 때문에 참가하지 못하였기에 내친김에 이번 주까지는 산행을 참고 숙제를 하기로 하였다. 서울역에서 지하철(1호선 석계역) 한 번과 버스(65-1번) 한 번으로 동구릉에 닿았.. 조선의 왕릉 2015.11.07
서오릉,서삼릉 다녀오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의 왕릉을 보면 기본적으로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여주의 세종대왕 영릉과 효종대왕의 영릉을 보고 온 후에 서울 인근에 분포되어 있는 왕릉의 탐방을 미루다가 뜻밖에 주어진 휴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서오릉, 서삼릉을 다녀왔다. 모든 왕릉이 진입.. 조선의 왕릉 2014.05.01
수원화성과 화성행궁 봄이면 아낙들이 봄나물을 캐러 동네 산에 오르는데 봄만 되면 햇살의 유혹을 떨치지 못하고 나도 덩달아 집을 나서고 싶다. 아직도 펄펄 뛰고 있는 내 혈관을 믿고 남은 내 삶의 가장 젊은 오늘을 확인하기 위해 늘어지는 주말의 나태함을 떨쳐버리려는 것이다. 최근 며칠간 숨을 쉬기도.. 조선의 왕릉 2014.03.02
왕릉의 구성 정자각의 양 옆으로는 재실에서 준비한 제례음식을 데우는 등의 제례 준비 공간인 수라방과 능침을 지키는 사람의 공간인 수복방이 설치되어 있다. 제례 의식을 마치는 정자각의 서북쪽으로는 지방을 불태우는 소전대와 제물을 태워 묻는 예감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정자각의 열린 후문으로 나오면, 왕의 혼령이 제향 후 봉분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에서, 앞쪽에서 이어진 신도가 짧게나마 계속 된다. 이밖에 원래의 산신에게 제사지내는 산신석, 수장된 왕의 업적을 나타내는 비각이 자리 잡고 있다. --> 조선의 왕릉 2014.02.26
왕릉과 풍수 조선시대의 왕릉은 중국 『주례(周禮)』의 기본질서를 바탕으로 하면서, 한양으로부터의 거리, 그리고 주변 능과의 거리, 방위, 도로와의 관계, 주변 산세 등과의 관계를 신중히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조선왕릉의 입지는 왕릉으로서의 권위를 드러내면서 자연의 지세를 존중하는 자연조.. 조선의 왕릉 2014.02.26
왕의 이름 왕이란 군주제가 시행되던 시기의 절대 권력자로서 동서를 막론하고 매우 특별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왕의 이름은 많게는 여섯 개 까지 있었다. 일반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왕도 태어나면서 이름이 붙여진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방원, 이산, 이척 등이 왕의 이름이다. 조선 27명의 왕.. 조선의 왕릉 2014.02.26
세자 책봉 조선시대 왕위 계승의 원칙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우선 중전의 몸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 왕위를 계승해야 하는 것이고, 왕이 될 사람은 덕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 그 두 번째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왕손은 '대를 이을 아들'이라는 의미의 세자(世子)로 책봉되어, 후계자로서의 준.. 조선의 왕릉 2014.02.26
왕위 즉위 왕실 후계자로 정해진 세자는 언제 왕위를 물려받게 될까? 조선 왕조의 왕위 계승은 선왕이 승하하거나 왕의 자리를 물러났을 때 이루어졌다. 건강 악화, 반정 등의 이유로 세상을 뜨기 이전에 왕의 자리를 물러난 경우는 27대 왕 중 태조, 정종, 태종, 단종, 연산군, 광해군, 고종 7명의 경.. 조선의 왕릉 2014.02.26
능원묘 미리보기/왕의 족보(선원계보) 능원묘 미리보기 http://royaltombs.cha.go.kr/portal/introduce/introduce_02.jsp?mc=KP_01_02 왕의 족보(선원계보) http://royaltombs.cha.go.kr/portal/king_life/king_life_01.jsp?mc=KP_02_01 조선의 왕릉 2014.02.26
조선왕릉이란?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고유의 유적이다. 왕릉 개개의 완전성은 물론이고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왕릉이 모두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가치가 있다. 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 조선의 왕릉 201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