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개]
미국 상징주의 문학 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대표적인 해양문학 작품. 세상에서 버림받아 마지막 삶터로 바다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쉬마엘의 눈으로 바라본 바다가 펼쳐진다. 선장의 한쪽 다리를 삼켜 버린 고래 ''백경''과 고래 턱뼈를 깎아 잃어 버린 다리를 대신하고 있는 에이허브 선장의 목숨을 건 한판 승부를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저자] 허먼 멜빌(1819~1891)
미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이며 시인이다. 그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그의 초기 소설들인 South Seas adventures에 대한 인기는 많았지만, 후기작들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았다. 그리고 그가 세상을 떠날 즈음해서 그는 거의 세상에서 잊혀졌지만, 그의 최고 걸작인 《백경》이 사후 수년이 흐른 후 "재발견"되어, 현재 그는 미국 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존중받고 있다. 작품으로는 《모비 딕》, 《빌리 버드》, 《타이피 족》, 《오무》, 《마디》, 《흰 재킷》 등이 있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삶의 목표.멜빌은 남태평양의 마르키즈제도의 식인(食人)마을에 살았던 기구한 경험을 그린 《타이피족(族) Typee》(1846)의 발표로 작가활동을 시작하여 연달아 작품을 내놓았다. 남태평양의 평안한 방랑생활을 엮은 《오무 Omoo》(1847)에 이은 가공의 남해 모험담 《마디 Mardi》(1849)는 단순한 모험담에 만족하지 못한 그의 실험적 작품인데, 주인공의 환상의 미녀 탐구에 우화적 의미를 주어, 유럽 여러 나라와 미국에 비유한 섬나라를 순회하는 동안에 문명비평·사회풍자·철학적 논의가 전개된다. 이것은 작가의 사상과 예술적 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작품이지만, 호평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는 다시 체험에서 우러난 이야기로 돌아가, 리버풀을 왕복하는 상선생활을 그린 《레드번 Redburn》(1849), 군함생활을 그린 《하얀 재킷 White Jacket》(1850)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작품은 단순한 기록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주인공이 이민선·리버풀의 뒷골목·군함생활 등의 참상과 악을 알게 되고, 나아가서 악의 화신과도 같은 인물을 만나 심오한 인생개안(人生開眼)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하였다.
대표작 《백경 Moby Dick:or, the White Whale》은 에이햅 선장이라는 강렬한 성격의 인물이, 머리가 흰 거대한 고래에 도전하는 내용의 소설로, 모선인 범선이 아닌 노 젓는 작은 보트로 고래를 쫓는 용감한 포경선 선원들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리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에이햅의 복수전이 이교적(異敎的) 분위기를 낳고, 악·숙명·자유의지 등의 문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전개되는 작품이다. 다음 작품인 《피에르 Pierre》(1852)는 경험에 입각한 해양 이야기에서 탈피하여, 시골의 부유한 평민 집안의 외아들 피에르가 이복누이 이사벨을 구하려다가 빠져 들어간 비극적인 삶을 그린 것이다. 그는 캘비니즘적(的) 그리스도교 사상에 의지하면서도 때로는 그 범주를 넘은 견해를 제시하여 인간심리의 착잡함을 비유적·상징적으로 묘사하였기 때문에, 《백경》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독자에게는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다.
삶의 목표.멜빌은 남태평양의 마르키즈제도의 식인(食人)마을에 살았던 기구한 경험을 그린 《타이피족(族) Typee》(1846)의 발표로 작가활동을 시작하여 연달아 작품을 내놓았다. 남태평양의 평안한 방랑생활을 엮은 《오무 Omoo》(1847)에 이은 가공의 남해 모험담 《마디 Mardi》(1849)는 단순한 모험담에 만족하지 못한 그의 실험적 작품인데, 주인공의 환상의 미녀 탐구에 우화적 의미를 주어, 유럽 여러 나라와 미국에 비유한 섬나라를 순회하는 동안에 문명비평·사회풍자·철학적 논의가 전개된다. 이것은 작가의 사상과 예술적 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작품이지만, 호평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는 다시 체험에서 우러난 이야기로 돌아가, 리버풀을 왕복하는 상선생활을 그린 《레드번 Redburn》(1849), 군함생활을 그린 《하얀 재킷 White Jacket》(1850)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작품은 단순한 기록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주인공이 이민선·리버풀의 뒷골목·군함생활 등의 참상과 악을 알게 되고, 나아가서 악의 화신과도 같은 인물을 만나 심오한 인생개안(人生開眼)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하였다.
대표작 《백경 Moby Dick:or, the White Whale》은 에이햅 선장이라는 강렬한 성격의 인물이, 머리가 흰 거대한 고래에 도전하는 내용의 소설로, 모선인 범선이 아닌 노 젓는 작은 보트로 고래를 쫓는 용감한 포경선 선원들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리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에이햅의 복수전이 이교적(異敎的) 분위기를 낳고, 악·숙명·자유의지 등의 문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전개되는 작품이다. 다음 작품인 《피에르 Pierre》(1852)는 경험에 입각한 해양 이야기에서 탈피하여, 시골의 부유한 평민 집안의 외아들 피에르가 이복누이 이사벨을 구하려다가 빠져 들어간 비극적인 삶을 그린 것이다. 그는 캘비니즘적(的) 그리스도교 사상에 의지하면서도 때로는 그 범주를 넘은 견해를 제시하여 인간심리의 착잡함을 비유적·상징적으로 묘사하였기 때문에, 《백경》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독자에게는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모비딕을 대하는 아합은 복수에 대한 열망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고 이스마엘에게서는 그것들을 지켜보며 왜 이 일을 행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의 삶 속에서도 이러한 의문들이 많이 있겠지만 선원들과 같은 의문을 품지않고 무심히 흘려버리는 경향이 있지 않을까 한다. 한번쯤 생각하고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고 영화를 다시 한번 보고 싶다.
에이허브 선장은 직접 돛대 망루에 올라가 밤을 새운 끝에 대망의 흰 고래를발견하고 사흘 동안에 걸쳐 추격을 한다. 첫째 날에 에어허브가 타고 있던 보트가 부숴지면서 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둘째 날에는 피쿼드호의 포경 선원들이 모비 딕에게 작살을 던지며 공격하지만 모비 딕의 반격으로 작살에 연결된 밧줄들이 뒤엉키며 보트가 세 척이나 파괴된다. 그리고 선원들과 선장은 간신히 구조된다. 셋째 날에는 모비 딕이 모선인 피쿼드호를 향해 달려들었고 배를 산산조각 나게 된다. 한 척만 남은 보트에 타고 있던 에이허브는 흰 고래를 향해 작살을 쏘아 꽂았고 그와 동시에 작살의 줄이 그의 목에 휘감기며 바다 속으로 끌려가 버린다.
결국 에이허브 선장의 잘못된 집착으로 인하여 애꿎은, 그리고 유능한 선원들은 피쿼드호와 함께 바다 속으로 가라앉는다. 피쿼드 호에 탔던 승무원들 중 이슈메일만이 수장을 면하고 바다를 표류하다 퀴퀘그가 자신의 관으로 준비해둔 상자를 발견해 살아 남게 된다.
모비딕을 대하는 아합은 복수에 대한 열망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고 이스마엘에게서는 그것들을 지켜보며 왜 이 일을 행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우리의 삶 속에서도 이러한 의문들이 많이 있겠지만 선원들과 같은 의문을 품지않고 무심히 흘려버리는 경향이 있지 않을까 한다. 한번쯤 생각하고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어서 좋았고 영화를 다시 한번 보고 싶다.
에이허브 선장은 직접 돛대 망루에 올라가 밤을 새운 끝에 대망의 흰 고래를발견하고 사흘 동안에 걸쳐 추격을 한다. 첫째 날에 에어허브가 타고 있던 보트가 부숴지면서 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둘째 날에는 피쿼드호의 포경 선원들이 모비 딕에게 작살을 던지며 공격하지만 모비 딕의 반격으로 작살에 연결된 밧줄들이 뒤엉키며 보트가 세 척이나 파괴된다. 그리고 선원들과 선장은 간신히 구조된다. 셋째 날에는 모비 딕이 모선인 피쿼드호를 향해 달려들었고 배를 산산조각 나게 된다. 한 척만 남은 보트에 타고 있던 에이허브는 흰 고래를 향해 작살을 쏘아 꽂았고 그와 동시에 작살의 줄이 그의 목에 휘감기며 바다 속으로 끌려가 버린다.
결국 에이허브 선장의 잘못된 집착으로 인하여 애꿎은, 그리고 유능한 선원들은 피쿼드호와 함께 바다 속으로 가라앉는다. 피쿼드 호에 탔던 승무원들 중 이슈메일만이 수장을 면하고 바다를 표류하다 퀴퀘그가 자신의 관으로 준비해둔 상자를 발견해 살아 남게 된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문]모비딕의 가장 큰 특징은 독자가 자신의 시각으로 다의적 해석을 내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모비딕 속에서 아합과 이스마엘이 가지고 있던 흰 고래에 대한 열망은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느낀 흰 고래는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었나요?
[답]이소설의 주인공들인 아합과 이스마엘은 각각 기성세대의완고함과 젊은세대의 우유부단함을 상징하는 것 같다. 이미 지나가 버린 인생에 대한 집착이 아합에게 감지된 반면 이스마엘에게서는 아직 다가오지 않은 인생에 대한 두려움과 미지(未知)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의 강렬함이 감지된다. 모비딕 즉 흰고래는 주인공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심이나 갖고 있을까? .....
아합은 자신에게 쓰라린 패배의 흔적을 남겨준 흰고래에게 자신의 복수심의 대상, 자신의 실패를 보상할 수있는 대상, 아니 자신의 남은 인생에 존재의미를 주는 대상으로서 감정이입을 한 것에 불과하다. 이스마엘은 아합의 위상, 즉 피코드호의 절대적 지배자인 선장에 의하여 이 사건에 강렬한 의지없이 휩쓸려 갔을 뿐이다. 그리고 아합에 의하여 과장되고 표적화된 거대악의 존재와 조우하게 되는 피동적인 존재로서 다만 경험하지 못한 사물에 대하여 강한 호기심을 가졌을 뿐이다.이들과는 달리 흰 고래는 그냥 자연을 상징하는 살아 움직이는 실체이고 그곳에 그냥 존재하는 생명 자체이다. 흰고래는 자신을 죽이려는 사람들을 피하려 했고 쫒아오니까 살기위해서 공격했을 뿐이다.
모비딕의 이야기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하여 제멋대로 자연을 규정하고 자신들의 욕망을 제멋대로 투영해온 인류역사 특히 서구문명의 근대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모비딕 즉 흰 고래는 항상 자기들 필요해의해서 악의 대상을 설정하고 그것과의 투쟁을 강조함으로서 자체 구성원들과의 제반 문제점들을 호도하고 구성원들을한방향으로 끌고가고 자해왔던 미국이라는 제국의 속성의 희생양을 상징하고 있는 가련한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문]모비딕의 가장 큰 특징은 독자가 자신의 시각으로 다의적 해석을 내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모비딕 속에서 아합과 이스마엘이 가지고 있던 흰 고래에 대한 열망은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느낀 흰 고래는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었나요?
[답]이소설의 주인공들인 아합과 이스마엘은 각각 기성세대의완고함과 젊은세대의 우유부단함을 상징하는 것 같다. 이미 지나가 버린 인생에 대한 집착이 아합에게 감지된 반면 이스마엘에게서는 아직 다가오지 않은 인생에 대한 두려움과 미지(未知)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의 강렬함이 감지된다. 모비딕 즉 흰고래는 주인공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심이나 갖고 있을까? .....
아합은 자신에게 쓰라린 패배의 흔적을 남겨준 흰고래에게 자신의 복수심의 대상, 자신의 실패를 보상할 수있는 대상, 아니 자신의 남은 인생에 존재의미를 주는 대상으로서 감정이입을 한 것에 불과하다. 이스마엘은 아합의 위상, 즉 피코드호의 절대적 지배자인 선장에 의하여 이 사건에 강렬한 의지없이 휩쓸려 갔을 뿐이다. 그리고 아합에 의하여 과장되고 표적화된 거대악의 존재와 조우하게 되는 피동적인 존재로서 다만 경험하지 못한 사물에 대하여 강한 호기심을 가졌을 뿐이다.이들과는 달리 흰 고래는 그냥 자연을 상징하는 살아 움직이는 실체이고 그곳에 그냥 존재하는 생명 자체이다. 흰고래는 자신을 죽이려는 사람들을 피하려 했고 쫒아오니까 살기위해서 공격했을 뿐이다.
모비딕의 이야기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하여 제멋대로 자연을 규정하고 자신들의 욕망을 제멋대로 투영해온 인류역사 특히 서구문명의 근대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모비딕 즉 흰 고래는 항상 자기들 필요해의해서 악의 대상을 설정하고 그것과의 투쟁을 강조함으로서 자체 구성원들과의 제반 문제점들을 호도하고 구성원들을한방향으로 끌고가고 자해왔던 미국이라는 제국의 속성의 희생양을 상징하고 있는 가련한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1. 모비딕 속에서 아합 선장이 백경에 대한 열망: 자신의 한 쪽 다리를 잃게 만든 원수. 벅찬 도전 상대. 증오와 복수의 대상. 목숨걸고 도전해야만 하는 대상. 정복해야만 하는 목표.
2. 이스마엘이 백경에게 가지고 있던 열망: 신성한 흰 빛을 가진 성물. 불가해한 대상. 아름다움 그 자체. 죽음의 사신. 정복할 수 없는 강력한 적. 초월적 신의 모습. 항거할 수 없는 자연 그 자체의 힘.
3. 내가 느끼는 흰 고래의 상징: 삶의 궁극적 목표. 도전할만한 가치가 있는, 그러나 도달하기 쉽지 않은 대상. 평범하지 않은 신비한 대상. 인간의 궁극적 운명. 諸行無常. 유한적 인간의 한계. 우주의 구성원으로서의 한 부분. 깊은 지식을 연마해야 하는 전문가의 세계. 배움으로서 해결할 수 없는 운과 같은 요소들. 팀웍의 중요성. 다원적 구성원들의 힘.
강. 모비딕의 주제. 1. 미국민주주의의 이상과 한계. 1) 민주주의 이상: 평민같은 제왕같은 평범한 선선원들. 하나하나는 건달이고 추방자이지만 뭉쳐 사회적 관계를 이루면 민주사회가 되고 민주시민이 된다. 이 때 민주적 존엄성이 광휘처럼 빛난다. 조셉콜래드: 해양소설가. 선장 등 배의 상층부의 고뇌를 다룸. /멜빌: 선원 평민들의 삶을 조명. 인종을 넘어선 평등한 우정. 민주주의 방향에 대한 성찰. 2) 민주주의의 한계: 전체주의로 변모할 가능성을 보여줌. 아합의 뒷 갑판 연설. 누군가의 거짓된 본의에 의해서 함몰될 가능성을 상존함을 보여줌. 전체로부터 소외를 두려워하여 다수의 의견에 맹목적으로 따르게 됨( 알렉시스 토크빌 Violence majority) 2. 바다와 육지의 양면성: 1) 바람이 불어가는 해안(23장): 육지의 이미지---반역적이고 배교적인 현실,. / 바다의 이미지--- 무한경, 독립적, 남성적 생명의 탄생과 쇠락. 약육강식의 먹이사슬이 이루어지는 근원적 세계. 종종 대초원의 이미지로 묘사. 미국적 상상력의 특징. 3. 삶의 다의성과 인식의 한계. 삶은 다양하고 상대적이라는 작가의 인식이 숨어있음. 외바퀴 손소레를 머리에 이는 퀴퀘크. 백인 선장이 표주박에 손을 씻음. 삶의 행동과 경험은 문화의 지배를 받음. 아합이 모비딕의 상금으로 스페인 금화를 내세움: 각자 다른 생각. 아합은 자신의 모습, 스타벅은 기독교의 삼위일체, 스텁은 12궁도, 대구는 돈으로 인식. 대상은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시각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받음. 4. 운명과 자유의지. 아합을 비롯한 많은 인물들이 자율성과 독자성을 강조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운명론적 생각을 가짐. 청교도적 예정론의 투영: 신에게서 구원을 받을 사람은 운명적으로 정해져 있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문]모비딕의 가장 큰 특징은 독자가 자신의 시각으로 다의적 해석을 내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모비딕 속에서 아합과 이스마엘이 가지고 있던 흰 고래에 대한 열망은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느낀 흰 고래는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었나요?
[답]이소설의 주인공들인 아합과 이스마엘은 각각 기성세대의완고함과 젊은세대의 우유부단함을 상징하는 것 같다. 이미 지나가 버린 인생에 대한 집착이 아합에게 감지된 반면 이스마엘에게서는 아직 다가오지 않은 인생에 대한 두려움과 미지(未知)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의 강렬함이 감지된다. 모비딕 즉 흰고래는 주인공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심이나 갖고 있을까?
아합은 자신에게 쓰라린 패배의 흔적을 남겨준 흰고래에게 자신의 복수심의 대상, 자신의 실패를 보상할 수있는 대상, 아니 자신의 남은 인생에 존재의미를 주는 대상으로서 감정이입을 한 것에 불과하다. 이스마엘은 아합의 위상, 즉 피코드호의 절대적 지배자인 선장에 의하여 이 사건에 강렬한 의지없이 휩쓸려 갔을 뿐이다. 그리고 아합에 의하여 과장되고 표적화된 거대악의 존재와 조우하게 되는 피동적인 존재로서 다만 경험하지 못한 사물에 대하여 강한 호기심을 가졌을 뿐이다.이들과는 달리 흰 고래는 그냥 자연을 상징하는 살아 움직이는 실체이고 그곳에 그냥 존재하는 생명 자체이다. 흰고래는 자신을 죽이려는 사람들을 피하려 했고 쫒아오니까 살기위해서 공격했을 뿐이다.
모비딕의 이야기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하여 제멋대로 자연을 규정하고 자신들의 욕망을 제멋대로 투영해온 인류역사 특히 서구문명의 근대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모비딕 즉 흰 고래는 항상 자기들 필요해의해서 악의 대상을 설정하고 그것과의 투쟁을 강조함으로서 자체 구성원들과의 제반 문제점들을 호도하고 구성원들을한방향으로 끌고가고 자해왔던 미국이라는 제국의 속성의 희생양을 상징하고 있는 가련한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문]모비딕의 가장 큰 특징은 독자가 자신의 시각으로 다의적 해석을 내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모비딕 속에서 아합과 이스마엘이 가지고 있던 흰 고래에 대한 열망은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느낀 흰 고래는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었나요?
[답]이소설의 주인공들인 아합과 이스마엘은 각각 기성세대의완고함과 젊은세대의 우유부단함을 상징하는 것 같다. 이미 지나가 버린 인생에 대한 집착이 아합에게 감지된 반면 이스마엘에게서는 아직 다가오지 않은 인생에 대한 두려움과 미지(未知)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의 강렬함이 감지된다. 모비딕 즉 흰고래는 주인공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심이나 갖고 있을까?
아합은 자신에게 쓰라린 패배의 흔적을 남겨준 흰고래에게 자신의 복수심의 대상, 자신의 실패를 보상할 수있는 대상, 아니 자신의 남은 인생에 존재의미를 주는 대상으로서 감정이입을 한 것에 불과하다. 이스마엘은 아합의 위상, 즉 피코드호의 절대적 지배자인 선장에 의하여 이 사건에 강렬한 의지없이 휩쓸려 갔을 뿐이다. 그리고 아합에 의하여 과장되고 표적화된 거대악의 존재와 조우하게 되는 피동적인 존재로서 다만 경험하지 못한 사물에 대하여 강한 호기심을 가졌을 뿐이다.이들과는 달리 흰 고래는 그냥 자연을 상징하는 살아 움직이는 실체이고 그곳에 그냥 존재하는 생명 자체이다. 흰고래는 자신을 죽이려는 사람들을 피하려 했고 쫒아오니까 살기위해서 공격했을 뿐이다.
모비딕의 이야기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하여 제멋대로 자연을 규정하고 자신들의 욕망을 제멋대로 투영해온 인류역사 특히 서구문명의 근대사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모비딕 즉 흰 고래는 항상 자기들 필요해의해서 악의 대상을 설정하고 그것과의 투쟁을 강조함으로서 자체 구성원들과의 제반 문제점들을 호도하고 구성원들을한방향으로 끌고가고 자해왔던 미국이라는 제국의 속성의 희생양을 상징하고 있는 가련한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아합 선장이 흰 고래에 대한 열망은 자신의 한 쪽 다리를 잃게 만든 원수, 벅찬 도전상대, 증오와 복수의대상이며 목숨걸고 도전하고 꼭 정복해야만 하는 목표이다-
이스마엘이 가지고 있는 열망은 신성한 흰 빛을 가진 성물, 불가해한 대상이며 아름다움 그 자체, 죽음의 사신, 정복할 수 없는 강력한 적, 초월적 신의 모습, 항거할 수 없는 자 그 자체의 힘으로 너무나 아름답고 신성하여 인간으로서는 항거할 수 없는 존재.
흰 고래의 상징은 현 세대를 살아가면서도 자연과 어우려져 삶을 조화롭게 살아야 하는 목표. 도전하고 싶고 가지고 싶지만 그 모습 그대로 신성시 하고, 그자리 그 곳에서 그 모습으로 가지고 있는 충분히 아름다운 그 무엇과 조화롭게 삶을 영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모비딕을 통하여 주인공들의 다양한 삶을 통하여 인간의 고뇌와 자연의 섭리를 볼 수 있었으며, 인간의 폭력성과 잔인함에 대하여 생각할 기회가 되었으며, 있는 그대로의 자연의 모습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인간의 기본적 모습을 다시 한번 생각할 기회가 되었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모비딕을 통하여 주인공들의 다양한 삶을 통하여 인간의 고뇌와 자연의 섭리를 볼 수 있었으며, 인간의 폭력성과 잔인함에 대하여 생각할 기회가 되었으며, 있는 그대로의 자연의 모습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인간의 기본적 모습을 다시 한번 생각할 기회가 되었다.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모비딕 속에서 아합과 이스마엘이 가지고 있던 흰 고래에 대한 열망은 어떤 것이었나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느낀 흰 고래는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었나요?
1. 모비딕 속에서 아합 선장이 백경에 대한 열망: 자신의 한 쪽 다리를 잃게 만든 원수. 벅찬 도전 상대. 증오와 복수의 대상. 목숨걸고 도전해야만 하는 대상. 정복해야만 하는 목표.
2. 이스마엘이 백경에게 가지고 있던 열망: 신성한 흰 빛을 가진 성물. 불가해한 대상. 아름다움 그 자체. 죽음의 사신. 정복할 수 없는 강력한 적. 초월적 신의 모습. 항거할 수 없는 자연 그 자체의 힘.
3. 내가 느끼는 흰 고래의 상징: 삶의 궁극적 목표. 도전할만한 가치가 있는, 그러나 도달하기 쉽지 않은 대상. 평범하지 않은 신비한 대상. 인간의 궁극적 운명. 諸行無常. 유한적 인간의 한계. 우주의 구성원으로서의 한 부분. 깊은 지식을 연마해야 하는 전문가의 세계. 배움으로서 해결할 수 없는 운과 같은 요소들. 팀웍의 중요성. 다원적 구성원들의 힘.
[모비딕] 인간 vs. 자연의 필사적 결투
8강. 모비딕의 현재적 의미. 1. 1970년대 이후 서양문학의 기준. 인종: 성:계급: 정전개편운동--- 기존의 백인중산 남성작가의 고전작품이 아닌 인종적 타자, 성적 타자, 계급적 타자들의 작품들을 대평가: 그 와중에서도 인정 받음. 2. 모비딕의 현재적 의미. 1) 모비딕과 독자 삶의 일체화: 다면성과 다원적 시각, 해석을 담고 있음. 삶과 지식의 다원성을 포용하고 해석하는데도 시각의 다원성을 열어 놓음. 2) 생태주의적 비전을 제시: 고래잡이에 대한 백과사전적 정보제공하나 고래잡이의 폭력성과 잔인성을 드러내며 포유류와 인간과의 유사점을 보여줌. ///아합의 고래추적: 과학적인 자본주의를 표상하는 서구문명.///모비딕의 승리는 근대기술문명에 대한 비판적 의미./// 피코드호 침몰 후 이스마엘의 구조. 자연의 인간에 대한 기회 부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정립하기 원함
'인문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관정요] 제왕 당태종이 전하는 열린정치와 소통의 리더십 (0) | 2014.02.20 |
---|---|
[홍루몽] 중국인들의 삶과 철학을 담은 사랑이야기 (0) | 2014.02.20 |
[백년 동안의 고독] 남미 혼돈의 역사가 담긴 마술적 사실주의 문학 (0) | 2014.02.18 |
[마담 보바리] 걸작이 된 한 여인의 불륜이야기 (0) | 2014.02.18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죄와 벌, 그리고 구원의 시학 (0) | 201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