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개]
37편에 달하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가운데에서 문학의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4대 비극’에는 복수를 앞두고 고뇌하는 인간의 내면 심리를 세련된 필치로 그린 『햄릿』, 자식과 부모의 관계를 새삼 돌아보게 하면서 선과 악의 실체를 그대로 드러낸 『리어왕』, 사랑과 질투, 그리고 인간의 내면에 숨겨진 섬뜩한 악마성을 묘사한 『오셀로』, 권력을 향한 인간의 욕망이 불러일으킨 고통과 비극을 놀라울 정도로 날카롭게 파헤친 『맥베스』등을 수록하였다.
[저자] 윌리엄 셰익스피어 (1564~1616)
영국이 낳은 세계 최고 극작가로서, 희·비극을 포함한 37편의 희곡과 여러 권의 시집 및 소네트집이 있다.
1564년 잉글랜드 중부의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에서 출생하였다. 그가 태어난 마을은 아름다운 자연에 둘러싸인 영국의 전형적인 소읍이었고, 아버지 존 셰익스피어는 비교적 부유한 상인으로 피혁가공업과 중농(中農)을 겸하고 있었다. 아버지가 읍장까지 지낸 유지였으므로, 당시의 사회적 신분으로서는 중산계급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셰익스피어는 풍족한 소년시절을 보낸 것으로 짐작된다.
극작가로서의 셰익스피어의 활동기는 1590∼1613년까지의 대략 24년간으로 볼 수 있다. 이 기간에 그는 모두 37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작품을 시기별로 구분해 보면, 초기에는 습작적 경향이 보였으며, 영국사기(英國史記)를 중심으로 한 역사극에 집중하던 시기, 그것과 중복되지만 낭만희극을 쓰던 시기, 그리고 일부의 대표작들이 발표된 비극의 시기, 만년에 가서는 화해(和解)의 경지를 보여주는 이른바 로맨스극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그에게 있어서 이러한 시기적 구획(區劃)이 다른 어느 작가보다도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그는 평생을 연극인으로서 충실하게 보냈으며, 자신이 속해 있던 극단을 위해서도 전력을 다했다.
1613년 그의 마지막 작품인 "헨리 8세"를 상연하는 도중 극장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며, 1616년 52세의 나이로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다.
보편적가치.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문화콘텐츠인 셰익스피어는 영국의장랑인 대문호이다
[4대 비극]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대한 이야기
세익스피어의 4대 비극(햄릿, 오셀로, 리어왕, 맥베스) 중에서 현대의 우리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인물은 햄릿이라는 생각이 든다. 햄릿의 너무 많은 생각으로 인해 결정을 내리지 못 하는 성격은 요즘의 많은 사람들과도 흡사하다고 할 수 있다. '장고(長考) 끝에 악수(惡手)를 둔다.'라는 말이 바로 햄릿을 두고 하는 말처럼 들린다.
인터넷 발달과 함께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홍수에 휩쓸려 다니는 요즘에는 어떤 결정을 내리는 데에 너무 많은 정보를 봄으로써 오히려 결정을 망설이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되고 있다. 거기에다가 온라인 상의 정보들은 검증되지 않아 대부분이 신뢰성에 의심이 가는 것들이어서, 이들 정보를 사용하여 내린 많은 결정들이 잘못되는 경우를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다.
모든 결정은 때와 장소에 맞아야 효과를 거둘수 있다는 교훈을 햄릿으로 부터 얻을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평소에 많은 지식을 축적할 필요가 있고, 아울러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용기도 배양할 필요가 있다.
[4대 비극]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대한 이야기
세익스피어의 작품중 비극의 주인공은 영리하고 훌륭한 자질의 소유자이며 햄릿왕자는 어머니의 행동을 통해 여성혐오.염세주의자로 표현되고 자신의 한가지 잘못된 판단으로 공으로 쌓아올린 성과가 한번에 무너지는 선의낭비를 표현하였다.또한 확실하지않은 작품의 결말로 인해 독자들에게 작품의 해석과 상상할수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4대 비극]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대한 이야기
평민으로 태어나 시대의 요청으로 시대를 발전시킨 희대의 극작가 이면서 시대와 국적을 초월한 극작기법의 고도적인 기법으로 문학의 한 획을 마련했다고 볼수있다.
[4대 비극]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대한 이야기
과제 : 셰익스피어에 나오는 인물들은 시대를 막론한 인간 본연의 질문을 우리에게 던집니다. 햄릿, 오셀로, 리어왕, 맥베스 중에 한 작품을 골라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보세요.
누구나 인생에서 원하든 원치않든 판단과 선택의 문제에 직면한다. 그 판단과 선택에 따라 행복해질 수도 있고, 불행해질 수도 있다. 셰익스피어 비극의 주인공들은 대체적으로 뛰어난 인품과 자질을 갖추고, 외양적으로 완벽해 보이는 인물이지만 잘못된 판단과 선택으로 인해 파멸을 맞게 된다. 햄릿과 이아고 같은 복합적 심리를 지닌 인물, 맥베스 같이 예민한 야심가, 리어왕 같이 독선적이고 편향적인 부모, 오셀로 같은 의처증 환자, 이들은 모든 인간의 보편적 고뇌와 욕망을 다루고 인생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깨달음을 준다.
뛰어난 주인공이 결함에 비해 지나친 파멸을 당하는 가혹한 운명과 선의 낭비가 우리들에게 공포와 연민의 감정을 일으킨다. 주인공이 적대 운명에 맞서는 용기와 고통 가운데서 체득한 깨달음은 주인공의 육체적 파멸에도 불구하고 정신적 승리감을 선사하며 공포와 연민을 씻어내는 카타르시스를 일으킨다. 그들은 운명과 타협하지 않고 정신적인 한계에 도전함으로써 인물의 고귀함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맥베스는 야심과 양심의 갈등을 겪으면서 야심을 선택하여 파멸하고 만다. 처음에는 명예롭고 고결한 성품이었으나 왕권의 유혹에 넘어가서 첫 번째 악행을 저지른 후에 죄가 죄를 낳아서 완전히 타락하게 된다. 맥베스의 원래 훌륭한 성품 때문에 그의 악인으로서의 변모가 더욱 충격적이다. 하지만 맥베스는 오셀로의 이아고와 같은 악마의 화신이 아니라 우리주변에 흔히 볼 수 있듯이 죄의 유혹에 넘어갔다가 양심의 가책에 시달리는 약한 인간의 모습을 보인다. 맥베스는 선과 악의 내면적 갈등을 겪다가 유혹과 욕망에 져서 악을 선택한 후에 후회하는 모든 시대의 많은 사람들을 대변해 준다. 맥베스는 죄의 유혹에 넘어갔다 양심의 가책에 시달리는 약한 인간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모든 시대의 많은 사람들을 대변해 준다. 인생에서 비극 자체가 가장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이다.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을 통해서 우리 인생을 의미있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와 영감과 마음가짐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 인생의 중요한 문제들을 우리 모두가 살아가면서 경험하게 되는 원한이나 복수심을 햄릿에서, 질투나 의처증, 의부증 문제는 오셀로에서, 부모 자식관계와 상속 문제는 리어왕에서, 출세욕이나 야심은 맥베스에서 발견할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을 통해서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른 작품에서도 마찬가지이나 오셀로란 작품을 통해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믿음이 삶에 미치는 중대성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대사중 오셀로가 데스데모나에게 당신은 뭐야? 라는 질문했을 때 데스데모나가 자신을 당신의 진실되고 충실한 아내라고 답합니다. 이 대화에서 사랑하는 연인이나 부부간에는 진심됨과 충실함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근저에는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든든하게 서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그래야 주변에서 어떤 유혹의 소리를 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닥친 위기를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살면서 분명 좋은 일과 나쁜 일은 번갈아 가며 내게 올 것입니다. 이때마다 이를 이겨낼 수 있는 것은 사랑하는 사람이 옆에 있다는 것입니다. 나를 믿어주고 나를 응원해주는 사람, 그로 인해 남은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이지요! 또하나는 다른 사람에 대한 질투를 조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의 잘남도 경계를 해야 하지만 나와 다른사람을 늘 비교해서 나의 열등감을 더 드러나게 하고 다른 사람의 우월을 시기하고 질투할 때 잠자던 분노가 화산처럼 부글부글 끓어오르다 어느 순간 폭발해 버리고 맙니다. 이 질투는 신뢰마저도 깰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이를 경계하고 조심해야 합니다. 질투를 극복하는 방법은 늘 나를 낮추고 남을 존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입니다. 늘 배우려는 겸손한 자세가 나를 지켜줄 것입니다. 연극무대같은 인생을 사는 우리는 모두 주인공이고 조연입니다. 희극이든 비극이든 관중으로부터 박수를 받기위해 최선을 다해서 살아야겠습니다.
[4대 비극] 시공을 초월한 인간의 보편적 본성에 대한 이야기
4대 비극의 현대적 의의 1.학문적 연구대상으로써도 지속적 가치를 지님2.시공을 초월한 보편성3.인생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깨달음을 줌 4.인식의 폭과 인생의 깊이를 더해줌 5.재해석을 통해 지적인 자극과 예술적 즐거움을 선사
4대 비극의 공통점 1.비극적 긴장의 희극적이완 2.인간사회의 질서는 우주의 동식물계 질서에서까지 연계되어 중시(모든존재의 위계질서와 서열중시)-질서를 중시하는 시대상 반영 3.운문(문어체대사=시조,진지한대사,)산문(하인,미친사람,광인의대사) 4.감동적대사 경구적표현, 철학적독백, 위트와유머가 뛰어난 재담 5.인간성에 대한 심오한 성찰(위대함과 나약함), 뛰어난 인물창조 능력(다양성, 신빙성, 개성, 생동감 넘침) 6.대중성과 예술성겸비한 작품 7.즐거움(delight)과 교훈(instruction)을 선사
'인문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책] 난세에 빛나는 책략의 기록 (0) | 2014.02.21 |
---|---|
[그리스 로마 신화] 신과 영웅의 大 서사시 (0) | 2014.02.21 |
[삼대] 일제 식민통치하에서 몰락해 가는 삼대(三代) (0) | 2014.02.21 |
[홍길동전] 역사학자가 바라본, 홍길동전 속의 다양한 사회이야기 (0) | 2014.02.21 |
[아Q정전] 중국의 민족혼 루쉰이 말하는 인간본성 (0) | 201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