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들의 색깔놀이
![]() |
▲ <사진 5> 토끼의 겨울 옷. |
동물들이 다양한 색깔의 옷을 입고 있는 이유는 살아 존재하기 위한 몸부림의 산물이다. 토끼가 겨울이면 옷을 갈색으로 갈아입는 이유는 자신을 해치는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다(사진 5, 6). 물론 겨울엔 볼 수 없지만 많은 곤충들의 애벌레 얼굴에 마치 진짜 눈처럼 보이는 화려한 가짜 눈을 만들고, 나방은 날개에 눈 같은 화사한 색상을 하고 있다. 이는 금방이라도 삼켜버릴 듯한 허기에 찬 새들에게 겁을 주고 놀라게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사진 7).
둥지 안에 있는 어린 새의 주둥이를 유심히 보면 주둥이 안의 색깔이 유난히도 강렬하고 분명하다. 이는 어미 새로부터 먹이를 얻어먹기 위한 강렬한 메시지인 것이다. 어미 새는 먹이를 물고 와서 아이들 중 가장 입을 크게 벌리고 강렬한 요구를 하는 새끼의 입에 넣어준다(사진 8). 그래서 종종 한 둥지에서 자라도 몸집의 크기가 차이를 보이는가 하면, 심지어 둥지 안에서 경쟁을 시켜 약한 아이를 의도적으로 돌보지 않고 죽게 내버려둔다. 이는 맹금류의 경우에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며, 어미의 목적은 강하고 튼튼한 후손을 기르는 것이다.
![]() |
▲ <사진 6> 토끼의 여름 옷. |
고라니나 토끼 같은 야행성 동물들이 엉덩이에 흰 점이 있는 것은 서로 같은 무리라는 것을 알리고 알아차리는 표시로 활용된다. 화려하지만 좀 징그럽게 느껴지는 무당개구리나 두꺼비의 색깔은 자신의 천적을 놀라게 하거나 맛이 없게 보여 멀리하게 하는 수단이다(사진 9).
카멜레온의 경우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활용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을 해치는 적으로부터 보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이 먹이로 삼는 친구들에게 속임수를 쓰는 색상의 옷을 입는다. 하지만 나방의 화려하고 맛없는 경고색도, 예를 들면 초음파를 이용해 먹이를 구하는 박쥐에게는 아무런 효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후각과 촉각만으로 먹이를 구하는 야행성인 두더지를 만나도 이들 보호색이나 경고색은 속수무책이 되고 만다.
![]() |
▲ <사진 7> 나방의 경고색. |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 낮에 활동하는 친구들은 주변의 색깔과 비슷한 회색이나 갈색 옷을 입는다. 화려한 옷을 입고 있는 새들은 훌륭한 가수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화려하지 못한 단순한 색상의 옷을 입고 있는 새들은 뛰어난 가수들처럼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다. 나비들은 비행 중에는 화려한 색깔을 나타내지만, 일단 착지하면 날개를 곧추세우고 있기 때문에 화려한 색깔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자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억5천만 년 동안 지구라는 제국 지배/나무 (0) | 2011.09.19 |
---|---|
인간에 의해 변해가는 숲 (0) | 2011.09.19 |
동물의 생활 모습 파악할 수 있는 겨울 숲 여행 (0) | 2011.09.19 |
북한산이 존재하기에 1천만 시민 또한 살 수 있다 2 (0) | 2011.09.19 |
식물들 자리싸움… 화학무기도 쓴다 (0) | 201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