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개]
백범일지는 1947년 국사원에서 최초로 출간된 이후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져 왔고 지금도 꾸준히 읽히고 있는 전국민의 필독서이다. 27년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어온 민족독립운동가이자 자신의 전 생애를 조국과 민족을 위해 바친 겨레의 큰 스승 백범, 일제의 침략 아래 신음하는 우리 민족의 살길을 열고자 해방된 통일조국 건설에 혼신의 힘을 다하다가 끝내 비명에 간 백범의 생애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 주고 있는 책이 바로 백범일지인 것이다.
백범일지는 참으로 진솔하고 감동적인 기록이다. 백범의 파란만장한 생애가 그러했듯이 지고지순한 민족애와 헌신성으로 기록된 이 책은, 자신의 치적을 포장하고 허물과 과오를 덮으려는 숱한 인사들의 자서전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니며 오늘날에도 빛 바래지 않는 감동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있다.
[저자] 김구 (1876~1949)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호 백범(白凡), 아명 창암(昌岩), 본명 창수(昌洙)였으나 구(九)로 개명, 법명 원종(圓宗), 초호 연하(蓮下)이다. 황해도 해주에서 출생했다. 15세 때 한학자 정문재(鄭文哉)에게서 한학을 배웠고, 1893년 동학(東學)에 입교하여 접주(接主)가 되고 이듬해 팔봉도소접주(八峯都所接主)에 임명되어 해주에서 동학농민운동을 지휘하다가 일본군에게 쫓겨 1895년 만주로 피신하여 김이언(金利彦)의 의병단에 가입하였다.
이듬해 귀국, 일본인에게 시해당한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원수를 갚고자 일본군 중위 쓰치다[土田讓亮]를 살해하고 체포되어 사형이 확정되었으나 고종의 특사로 감형되었다. 복역 중 1898년 탈옥하여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승려가 되었다가 이듬해 환속(還俗), 1903년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9년 황해도 안악의 양산학교 교사로 있다가 이듬해 신민회(新民會)에 참가하고, 1911년 ''안악사건''으로 체포되어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복역 중 감형으로 1915년 출옥하여 김홍량(金鴻亮)의 동산평 농장 농감(農監)이 되어 농촌을 계몽하였다. 3·1운동 후 상하이[上海]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직에 참여하고 경무국장(警務局長)·내무총장·국무령(國務領)을 역임하면서, 1928년 이시영(李始榮)·이동녕(李東寧) 등과 한국독립당을 조직, 총재가 되었다.
이로부터 항일무력활동을 시작, 결사단체인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일본왕 사쿠라다몬[櫻田門] 저격사건, 상하이 훙커우[虹口]공원 일본왕 생일축하식장의 폭탄투척사건 등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 등의 의거를 지휘하였다. 1933년 난징[南京]에서 장제스[蔣介石]를 만나 한국인 무관학교 설치와 대(對)일본전투방책을 협의하고 1935년 한국국민당을 조직했다. 1940년 민족주의자들의 단일조직인 한국독립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에 선출되었다. 1941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충칭[重慶]으로 옮길 때 이를 통솔하였고,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설치하여 그 사령관에 지청천(池靑天)을 임명하였다. 1941년 12월 9일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대일선전포고(對日宣戰布告)를 하고, 광복군 낙하산부대를 편성하여 본국 상륙훈련을 했다. 1944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에 다시 선임되었다.
8·15광복으로 귀국하였는데, 임시정부가 미군정으로부터 정부로서의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하였으므로 한국독립당 위원장으로서 모스크바 3상회의 성명을 반박하고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주도하였다. 대한독립촉성중앙협의회 부의장, 민주의원 부의장, 민족통일총본부를 이승만(李承晩)·김규식(金奎植)과 함께 이끌면서 극우파로 활약하였다.
1948년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를 실시한다는 국제연합의 결의에 반대하여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남북협상을 제창하였다. 그후 북한으로 들어가 정치회담을 열었으나 실패하였다. 그후 정부수립에 참가하지 않고 중간파의 거두로 있다가 1949년 6월 26일 경교장(京橋莊)에서 육군 포병 소위 안두희(安斗熙)에게 암살당하였다.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으며, 저서로는 《백범일지(白凡逸志)》가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백범일지는 외세의 침략을 받고 나라를 빼앗겼던 암울한 시절 나라를 구하기 위해 헌신한 김구선생의 행적을 기록한 자서전적 참회록이다. 개인주의와 황금만능주의가 팽배한 오늘날을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국가와 민족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양서이다.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김구선생님은 우리 민족의 큰 스승임에 틀림이 없다. 한 민족을 중심으로 한 문화 창달과 교류의
힘을 강조하신 것은 대단하다. 어떤 사상의 틀에 넣지않고, 애국 애족을 한 큰 분이시다.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민족의 큰 스승, 백범 김구 국가와 민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 우리는 반만년역사를 가진 민족-자부심을 가질필요. 만일 민족에게 국가가 없다면? 나라를 송두리째 빼앗긴 것은 일제시대가 처음이다.백범일지를 보면 국가와 민족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음. 조소앙: 일제의 식민지배는 우리몸에 난 조그만 부스러기에 다름없다. 민족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기때문에 독립운동을 할 수 있었던 것. 나라를 잃은 설움: 중국인에게 망국노라는 놀림을 받는것이 가장 서러웠다. 독립운동=한국 민족으로 살아남기 위해 투쟁, 이를 주도한 사람이 백범김구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나의 소원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 소위 좌익의 무리는 혈통의 조국을 부인하고 소위 사상의 조국을 운운, 공산주의자들은 "제 정신 잃은 미친놈"이라고 비난 "철학도, 정치도, 사상도 일시적이다. 하지만 민족의 혈통은 영구적이다." 현실의 진리:"현실의진리는 민족마다 최선의 국가를 이루어 최선의 문화를 낳아길러서 다른 민족과 서로 바꾸고 서로 돕는일이다" "이것이 내가 믿고 있는 민주주의요, 이것이 인류의 현단계에서는 가장 확실한 진리다" 우리민족의임무: 첫째는 남의 절제도아니받고 남에게 의뢰도 아니하는 완전한 자주독립의나라를 세우는일이다. 둘째는 이 지구상의 인류가 진정한 평화와 복락을 누릴 수 있는 사상을 낳아 그것을 먼저 우리나라에 실현하는 것이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카이로선언의 진실. 카이로회의: 전쟁이 끝나기전 한국의독립을 결정한 회의, 미국 루즈벨트, 영국 처칠, 중국 장개석참석. 전리품을 사전에 협의 1차 세계대전;파리강화회의 (전쟁후논의) 국제공동관리반대운동 한국은 즉시 독립되어야한다.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망국노의 근성, 안명근사건, 백범의 투옥일지.신민회 600여명체포. "나의 생명을 빼앗을 수 있거니와 내 정신은 빼앗지 못하리라." 어머니(곽낙원여사)"나는 네가 감옥에 들어와 있는 것이 자랑스럽다" 김창수, 김구, 호는 백범 "일반 백정 범부도 나와 같은 마음을 가지면 완전한 독립국민이 도리 수 있을것."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지난 대통령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 등을 통해 후보들을 검증한는 시스템에서 우리나라의 많은 지도자들이 한결같이 이터부시 밝히는 가장 존경하는 사람중의 한사람이며 민족의 지도자로 추앙받는분이 김구선생님이다 또한 국민여론조사에서도 한결같은 답은 김구선생님으로 나타난다
김구선생님의 리더십은 그만큼 시대를 넘나드는 리더십으로 국민 모두의 가슴속에 자리잡고있다
따라서 김구선생님의 리더심을 탐구하고 계승하는 일은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위해서라도 매우 중요한일이며 가치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김구선생님의 선구자적인 리더십은 현시대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져야 할것이며 앞을 내다보는 통찰력을 통해 우리나라가 더욱 부강해지고 선열들이 계승하고자 했던 정통성을 현대에도 접목하여 이어져야 할것이다
또한 김구선생님의 많은 업적도 업적이지만 어적을 이루도록 뒷바라지를 해주신 어머니의 말과 행동이 감동적이었다 어머니를 통한 살아있는 교육으로 위대한 위인이 탄생되었고 모든 위인들의 뒤엔 그들을 있게한 어머니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백범일지] 백범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되짚다
(1) 백범일지가 오늘날에도 감동을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백범일지는 일제 침략에 의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절대 굴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한평생을 바친 위대한 애국자인 김구 선생의 진솔한 기록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친일인사로 변절하는 일이 많았으나 끝까지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임시정부를 구성하고 지켜냈기에 큰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김 구 선생은 개인적 이익이나 명예를 취하지 않고 오로지 나라의 독립을 위해 한국광복군 창설하고, 카이로 회담에서의 독립보장을 위해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신적지주로 일본 제국주의의 탄압과 분열공작에도 흔들림 없이 임정을 지켜낸 산 증인이기에 그의 백범일지는 우리민족 모두에게 큰 감동을 주고 있다 할 수 있겠다.
(2) 김구의 리더십이 지니는 현대적 의미는 무엇인가?
김구 선생은 가정과 개인의 삶보다는 나라와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솔선하여 희생하고, 정의를 선택하는 용기를 지닌 지도자임을 바로 알므로서,
자신의 존재를 정당이나 세력에 부합하기에 급급한 현세의 치졸한 지도자나 졸부들로 하여금 김구선생님의 소원과 행동을 마음속에 새김으로서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자신의 존재를 명확히 하여야 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게 하는 것 같다
'인문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유사]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문화가 투영된 역사서 (0) | 2014.02.21 |
---|---|
[삼국사기] 중세 유교적 대의명분의 이상을 실현하다 (0) | 2014.02.21 |
[열하일기] 실사구시의 새 시대를 노래한 북학파 학자의 중국견문기 (0) | 2014.02.21 |
[조선상고사] 한국 민족주의 역사관의 정수 (0) | 2014.02.21 |
[동국세시기] 열두 달 세시풍속을 통해 본 우리 문화 (0) | 201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