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개]
본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송(宋)의 사마 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다. 그 후 주자(朱子)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만들어 경(經) 1장(章), 전(傳) 10장으로 구별하여 주석(註釋)을 가하고 이를 존숭(尊崇)하면서부터 널리 세상에 퍼졌다.
주자는, 경은 공자의 말을 증자(曾子)가 기술(記述)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뜻을 그 제자가 기술한 것이라고 단정하였다. 경에서는 명명덕(明明德:명덕을 밝히는 일) ·신민(新民: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 ·지지선(止至善:지선에 머무르는 일)을 대학의 3강령(三綱領)이라 하고,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8조목(八條目)으로 정리하여 유교의 윤곽을 제시하였다. 실천과정으로서는 8조목에 3강령이 포함되고, 격물 즉 사물의 이치를 구명(究明)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평천하의 궁극 목적과 연결된다는 것이 대학의 논리이다. 전은 경의 설명이라는 뜻이다.
주자는 본문에 착간(錯簡)과 오탈(誤脫)이 있다 하여 교정하고, 또 ‘격물’의 전을 보충하였다. 명(明)의 왕양명(王陽明)이 주자학을 비판하면서부터 주자의 《대학장구》, 특히 그 보전(補傳)은 유학자간의 논쟁(論爭)의 중심문제가 되었다. 왕양명은 대학고본(大學古本)에 의거하여 대학고본방석(大學古本旁釋)을 지었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대인:
-. 사서:논어/맹자/중용/대학
-. 대학
공영달은 초보입덕지문 이라고 함
삼가령 팔조목 본말종시로 이루어짐
지도자를 길러내기 위한 많은 덕목들을 배움
-. 군자는 자신에게 선함이 있은 후에야 다른 사라에게 선함을 요구한다고 했으며 지도자라면 삼강령 본말종시 팔조목을 중시해야 한다
-. 대인은 자기자신부터 되돌아보고 바른 마음과 행동거지를 옳바르게 한후 타인의 겸양의 자세로 인도해야 한다
경구:여인불구비 검신약불급
-. 세상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불안전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너그럽다 하지만 남의 불안전에 대해선 냉정하고 엄하다 이런 모순된 사고로 인하여 사회가 혼란스럽고 서로가 히든 세상이다 내가 부족한 만큼 남도 나처럼 결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아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큰 사람이 되기 위해 어떻게 적용:남을 인정 즉 남이 먼저 해주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내가 먼저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 무엇보다 실천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대인:
-. 사서:논어/맹자/중용/대학
-. 대학
공영달은 초보입덕지문 이라고 함
삼가령 팔조목 본말종시로 이루어짐
지도자를 길러내기 위한 많은 덕목들을 배움
-. 군자는 자신에게 선함이 있은 후에야 다른 사라에게 선함을 요구한다고 했으며 지도자라면 삼강령 본말종시 팔조목을 중시해야 한다
-. 대인은 자기자신부터 되돌아보고 바른 마음과 행동거지를 옳바르게 한후 타인의 겸양의 자세로 인도해야 한다
경구:여인불구비 검신약불급
-. 세상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불안전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너그럽다 하지만 남의 불안전에 대해선 냉정하고 엄하다 이런 모순된 사고로 인하여 사회가 혼란스럽고 서로가 히든 세상이다 내가 부족한 만큼 남도 나처럼 결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 아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큰 사람이 되기 위해 어떻게 적용:남을 인정 즉 남이 먼저 해주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내가 먼저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 무엇보다 실천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1) 대학이 주는 가르침은 인간이 갖춰야할 기본적인 도리를 알려주는 학문이라 생각되며 이는 큰사람 즉 이성적이며 도덕적으로 완전한 인간을 가르키는 말로서 이데아적 인간을 표현하는 동양적 표현이라 사료된다. 즉, 이성적으로 바른 판단기준과 인간적으로 타인에 대한 깊은 배려심이 갖춰진 사람을 표현한다고 생각된다. 도덕적으로 이성적으로 완전한 참된 성인을 표현한 것으로 판단되며 항상 부단한 자기관리와 올바른 정신을 갖춰야만이 이를 수 있는 경지라 여겨진다.
이러한 경지에 이를 수 있도록 바른 길을 가르쳐 주는 경전이 대학이라 판단되며,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조선시대 소학 대학으로 구분하여 선비들이 필수적으로 배워야 할 교양서로 정해졌음을 알 수 있다.
시대가 바뀌어도 변치않는 불변의 진리인 큰 사람,즉 성인군자가 주는 의의가 매우 크다 판단된다.
(2) "심부재언 시이불견 청이불문 식이부지기미"
"마음이 거기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며,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라는 의미심장한 말에 깊이 공감하며 모든 일에 대하는 정신자세가 중요함을 가르쳐 주는 주옥같은 경구라 여겨진다. 끝.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대학은 경문과 전문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경문은 공자가 말한 것이고 전문은 그것을 증자가 해석한 것이라는 걸 배웠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1) 대학은 대인지학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대인, 즉 큰 사람이란 어떤 사람을 일컫는 말인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보세요.
대인은 공자가 얘기한 군자를 말하는 것 같다. 군자, 즉 대인이란 사람으로 태어나서 지켜야 할 여러 도리를 성실하게 실천하며 인격적 완성을 이루는 사람을 얘기한다고 생각한다. 스스로의 마음가짐이 가정이나 사회, 그리고 국가와 미래의 후손들에께까지 이르도록 모범이 되고 원만하게 잘 살아가기 위해서 반드시 지며야 할 마음과 실천의 공부를 꾸준하게 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자가 얘기한 인의예지를 그리고, 맹자가 얘기한 사단의 심성을 매일 꾸준하게 성실히 실천하는 사람이 군자 즉, 애인이 아닌가 싶다.
2) 대학의 경구 가운데 가장 마음에 남는 경구에 대해 설명하고, 큰 사람이 되기 위해 이를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정리해보세요.
대학의 삼강령, 팔조목, 본말종시 어느 것 하나도 마음에 새겨지지 않은 말이 없을 정도이다. 삼강령의 명명덕, 신민, 지어지선, 팔조목의 격물치지, 성의, 정심, 수신제가치국평천하, 본말종시의 물유본말, 사유종시 등 모두가 뼈에 사무치게 새기고 실천해야 할 덕목들인 것 같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마음에 남는 경구는 성실은 하늘의 도이고, 성실을 실천하는 것은 사람의 도이다 라는 중용의 문구에 더하여, 소위성기지야 무자기야라는 경구가 가장 마음에 남는다. 뜻을 성실히 함에 있어서 자기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것은 나쁜 냄새를 싫어하면서 좋아하는 것처럼 좋은 냄새를 좋아하면서 싫어하는 것처럼 하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속에서 공자가 얘기한 스스로 원하는 대로 하는데도 하늘의 뜻과 어긋남이 없는 경지까지 오르도록 스스로 혼자 있을때, 남에게 보이고자 체면이나 위신을 위하여 바른 자세와 바른 마음과 바른 행실을 꾸며서 하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성실함이 하늘의 도이고, 그것을 누가 보지 않을 때에도 스스로 속이지 않고 실천하는 것은 인간이 반드시 해야할 도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매일의 사소한 행동들을 남 앞에서 하듯이 혼자 있을 때에도 똑같이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본 과정을 들으며 느낀 점은 우선 대학은 우리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의 기본 방향을 잘 정리해논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여러가지 자기 처세술, 도덕적인 기술서, 명언등이 은연중에 본 대학의 내용에 어디를 가져가도 다 해당이 될 수 있는 그야말로 살아가는데 도덕적인면, 가져야할 심성 그리고 리더로서의 덕목 등 모든것이 포함이 된다고 봅니다
내용중에는 제가 어릴 적 부터 생각해온 수진, 제가, 치국, 평천하에 대하여 도 있고 최근 많이 생각하게 만드는 신기독도 대학에 언급이 되어 과연 대학이 내용은 풍부하게 기술되어 있지는 않으나 꼭 필요한 내용은 다 있는 그래서 예부터 4서 3경으로 모든 사람이 읽어야만 하는 필독서로구나 생각이 듭니다
내용을 보아도 가장 중요한 것은 나부터 출발이라고 봅니다
내가 행동, 마음가짐등을 잘 가져야 우리 주변이 좋아지고 이것이 반영이 되어 국가도 번성을 할 수 있으며 이것이 나에게 돌아와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지 않나 봅니다. 부메랑효과라고 봅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남이 먼저 해주는 것을 기다리는 것 보다도 내가 먼저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져아먄 한다는 것을 가르쳐 주는 좋은 책이 었다고 생각이 되고 무엇보다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 강의를 들으며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1) 대학은 대인지학(大人之學)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대인, 즉 '큰 사람'이란 어떤 사람을 일컫는 말인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보세요.
君子 有諸己而後 求諸人(군자 유저기이후 구저인)
대인은 자기 자신부터 되돌아보고 바른 마음과 행동거지를
옳바르게 한후 타인을 겸양의 자세로 인도해야 한다.
(2) 대학의 경구 가운데 가장 마음에 남는 경구에 대해 설명하고, 큰 사람이 되기 위해 이를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정리해보세요
‘與人不求備, 檢身若不及’(여인불구비 검신약불급)
‘남을 대하는 데 완벽함을 요구하지 말고, 자신을 단속하는 데 부족한 존재처럼 여긴다. 대인관계에서 완전무결한 사람은 없다. 사람이기에 단점이 있고 실수도 있게 마련이다.
세상 사람들은 누구나,자신의 불안전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너그럽다. 하지만 남의 불안전에 대해선 냉정하고 엄하다.
이런 모순 된 사고로 인하여 사회가 혼란스럽고 서로가 힘든 세상이다.다른 사람에게는 관용하고 배려하는 자비가 있다.
내가 부족한 것만큼,남도 나처럼 결점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세상은 살만하지 않을까 한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지도자라면 삼강령 본말종시 팔조목을 중시해햐 한다
군자는 자신에게 선함이 있은 후에야 다른 사람에게 선함을 요구한다고 했다. 이는 <상서>에 나오는 與人不求備(여인불구비), 檢身若不及(검신약불급) - 남에 대해서는 완전무결하기를 바라지 말고, 자기에 대해서는 모자람이 없는가 잘 살펴 따져 보아야 한다는 구절과 통하는 것으로 참으로 큰 가르침이다.
자기 자식의 나쁜 점은 알지 못하고 자기 밭에서 자라는 곡식의 싹이 큰 줄 모르는 어리석은 우리는 늘 남들이 더 잘해주기를 바라며 살다보니 불평만 느는 것일게다. 내 삶의 변화는 결국 나를 들여다 보는데서 출발한다는 것을 더욱 깊게 깨닫게한 경구이다.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1) 대학은 대인지학(大人之學)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대인, 즉 '큰 사람'이란 어떤 사람을 일컫는 말인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보세요.
여기서 말하는 대인은,
지식과 아울러서 인격도 동시에 갖추고 덕을 실천하는 참된 인물이 군자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성인군자라고 할 때 성인이나 군자나 모두 참된 인물을 지칭하는 것 같습니다.
(2) 대학의 경구 가운데 가장 마음에 남는 경구에 대해 설명하고, 큰 사람이 되기 위해 이를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정리해보세요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머무를 곳을 알고난 뒤에야 일정한 방향이 있고,
일정한 방향이 있고난 뒤에야 차분해질 수 있으며,
차분해진 뒤에야 평안해질 수 있고,
평안해진 뒤에야 사려할 수 있으며,
사려한 뒤에야 성취할 수 있다.
그 중 " 머무를 곳을 알고 난 이후에야 정(定)이 있다." 는 말이
가장 가슴에 남는 것 같습니다.
"머무를 곳을 안다는 것"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끔 하네요.
(1) 대학은 대인지학(大人之學)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대인, 즉 '큰 사람'이란 어떤 사람을 일컫는 말인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보세요.
여기서 말하는 대인은,
지식과 아울러서 인격도 동시에 갖추고 덕을 실천하는 참된 인물이 군자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성인군자라고 할 때 성인이나 군자나 모두 참된 인물을 지칭하는 것 같습니다.
(2) 대학의 경구 가운데 가장 마음에 남는 경구에 대해 설명하고, 큰 사람이 되기 위해 이를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정리해보세요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머무를 곳을 알고난 뒤에야 일정한 방향이 있고,
일정한 방향이 있고난 뒤에야 차분해질 수 있으며,
차분해진 뒤에야 평안해질 수 있고,
평안해진 뒤에야 사려할 수 있으며,
사려한 뒤에야 성취할 수 있다.
그 중 " 머무를 곳을 알고 난 이후에야 정(定)이 있다." 는 말이
가장 가슴에 남는 것 같습니다.
"머무를 곳을 안다는 것"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끔 하네요.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주공불구비어 [상서] 여인불구비,검신약불급 남들에 대해서는 완전무결하기를 바라지 말고, 자기에 대해서는 모자람이 없는지 샅샅이 살펴야 한다. 10장 덕자본야,재자말야
[대학] 나를 닦고 천하를 다스리는 배움의 길
7장 : 심부재언,시이불견,청이불견,식이부지기미 란 => 마음이 거기 있지 아니하면,보아도 보이지 아니하고, 들어도 들리지 아니하고, 먹어도 그 맛을 모른다. 8장: 인막지기자지악, 막지기묘지석 =>사람들은 자기 자식이 나쁜것을 알지 못하며, 자기가 키우는 싹의 자라남을 알지 못한다.
'인문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자] 인류 최초의 민주평화 운동가 (0) | 2014.02.21 |
---|---|
[맹자] 왕도정치와 성선설을 역설한 인류의 스승 (0) | 2014.02.21 |
[논어] 시대를 넘어 참 인간을 논하다 (0) | 2014.02.21 |
[노자] 상대주의와 무위가 빚어내는 자유와 평화의 세상 (0) | 2014.02.21 |
[간디 자서전] 간디의 진실추구 이야기 (0) | 201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