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소개]
중국 4대 기서의 하나로 오승은이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황제의 칙명으로 불경을 구하러 인도에 가는 현장삼장(玄三藏)과 손오공(孫悟空)의 기상천외한 모험기이다. 그 속에는 불교, 도교 등의 동양 철학 사상이나 권선징악의 메시지 등이 해학적이면서도 깊이 있게 담겨 있어 현대에도 널리 읽히는 고전이다.
[저자] 오승은吳承恩(1500?~1582?)
중국 명나라 회안부淮安府 산양현山陽縣(지금의 쟝쑤성江蘇省 화이안스淮安市)에서 서출로 태어났다. 자字는 여충汝忠이고 호號는 사양거사射陽居士이다.
가정 29년부터 약 10년 동안 오승은은 남경南京의 국자감國子監에 들어가서 공부했으나, 음주와 풍류에 빠져 지냈다. 그러던 중 왜구의 침입으로 남경이 위태로워질 무렵 가까스로 방탕한 생활에서 벗어나, 가정 41년에 북경北京으로 가서 벼슬을 구하기 시작한다. 마침내 가정 45년에 장흥현승長興縣丞으로 임명되나, 두 해가 채 지나지 않아 탐관貪官의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다시 감옥에서 풀려나 형부기선荊府記善의 벼슬을 받았으나 결국 부임하지 않고 사퇴한 후 회안부로 돌아가 의기소침한 채 시문을 지으며 만년을 보낸다. 오승은에게 후손이 없었던 탓에 그의 시문집 『사양선생존고射陽先生存稿』와 사집詞集 『화초신편花草新編』은 훗날 그의 육촌 외손자인 구도丘度에 의해 출간된다.
[서유기]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
서유기의 원형으로 취경설화가 있다.당나라때 현장법사가 불경을 구하기 위해 인도에 다녀오는 이야기이다.파미르고원과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가는 험난한 여정을 다룸. 왜 현장은 서쪽으로 갔는가? 한나라 때 불교는 중국에 전래되고,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쳐 많이 번역됨. 현장은 기존의 번역본에 불만을 품고, 인도 유학을 감행함. 즉, 구법여행을 시도했다. 실제인물 진현장(602-663), 속명은 진위이며 17년간 유학함.진현장은 중국으로 돌아온 후 삼장법사로 불리게 되엇으며, 삼장은 경(부처님의 언행),율(승려 또는 신자의 계율),론(후대의 학자들이 불교이론을 전개한 저작들)을 뜻함.역경사업, 불교에 공헌한 사람은 삼장법사라는 칭호를 얻음. 진현장이 17년 동안(629-645)의 인도 유학여행경험을 기록한 책인 대당서역기가 서유기의 원형임. 송대에 오면 대당서역기가 변천하여 대당삼장법사취경시화가 나옴. 경전을 읽고 해설해 주던 사람, 설경이 역사적인 사실과 함께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각색하여 설명한 글이 나옴. 원명대에 오면 도시의 발달로 연극,연행 등이 시도되고, 서유기를 연극으로 재현함. 당삼장 등 연극의 대본이 있음. 조선인은 노걸대,박통사라는 책을 통해 중국어를 익힘.박통사언해에 서유기가 나타남.
서유기의 원형으로 취경설화가 있다.당나라때 현장법사가 불경을 구하기 위해 인도에 다녀오는 이야기이다.파미르고원과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가는 험난한 여정을 다룸. 왜 현장은 서쪽으로 갔는가? 한나라 때 불교는 중국에 전래되고, 위진남북조 시대를 거쳐 많이 번역됨. 현장은 기존의 번역본에 불만을 품고, 인도 유학을 감행함. 즉, 구법여행을 시도했다. 실제인물 진현장(602-663), 속명은 진위이며 17년간 유학함.진현장은 중국으로 돌아온 후 삼장법사로 불리게 되엇으며, 삼장은 경(부처님의 언행),율(승려 또는 신자의 계율),론(후대의 학자들이 불교이론을 전개한 저작들)을 뜻함.역경사업, 불교에 공헌한 사람은 삼장법사라는 칭호를 얻음. 진현장이 17년 동안(629-645)의 인도 유학여행경험을 기록한 책인 대당서역기가 서유기의 원형임. 송대에 오면 대당서역기가 변천하여 대당삼장법사취경시화가 나옴. 경전을 읽고 해설해 주던 사람, 설경이 역사적인 사실과 함께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각색하여 설명한 글이 나옴. 원명대에 오면 도시의 발달로 연극,연행 등이 시도되고, 서유기를 연극으로 재현함. 당삼장 등 연극의 대본이 있음. 조선인은 노걸대,박통사라는 책을 통해 중국어를 익힘.박통사언해에 서유기가 나타남.
[서유기]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
중국고전 장편통속소설에서 작가의 의미는 현대적 의미의 독창적인 작가는 아니다. 판권료를 지불해야 할 리메이크 작가가 진실에 가깝다.차라리 금병매의 경우 소소생이라는 가명을 사용한 근대적 의미의 독창적 작가가 탄생한다. 삼국지,수호전,금병매는 완성된 텍스트의 작가가 존재하지만 명대 출간된 서유기의 경우 초판본에 작가가 없으며, 오승은 작자설은 한 지방지의 기사를 그대로 믿은 것에 불과함이 점점 지지를 받고 있다.
중국고전 장편통속소설에서 작가의 의미는 현대적 의미의 독창적인 작가는 아니다. 판권료를 지불해야 할 리메이크 작가가 진실에 가깝다.차라리 금병매의 경우 소소생이라는 가명을 사용한 근대적 의미의 독창적 작가가 탄생한다. 삼국지,수호전,금병매는 완성된 텍스트의 작가가 존재하지만 명대 출간된 서유기의 경우 초판본에 작가가 없으며, 오승은 작자설은 한 지방지의 기사를 그대로 믿은 것에 불과함이 점점 지지를 받고 있다.
[서유기]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
100회본 서유기의 판본문제? 일종의 변형태 같지만 다른 형태의 계열을 의미하는 판본 (VERSION), 서유기는 서울대,임홍빈번역본, 연변 인민출판사 번역본으로 대별된다. 전통적으로 같은 목판으로 인쇄한 책은 동일한 판본으로 간주한다. 서유기 최고의 판본은 세덕당본 서유기이다. 남경의 세덕당 출판사에서 목판인쇄한 것으로 명말 시기임(1592년). 이탁오(양명학자)평점본 서유기는 가장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텍스트임.아울러 40회본의 축약본도 출간됨.또한 64회본의 축약본도 발견됨.서유기는 16세기말 완성도 높은 텍스트로 정착됨.초기 판본에는 저자의 이름이 없음. 과연 작자 오승은은 누구며, 어떻게 나온 것일까?
[서유기]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
고전이란 무엇인가? 古典, 모범이 되는 훌륭한 글을 책상 위에 정성스럽게 모셔둔 형상,경전,전범의 의미도 있다.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실제로는 극소수의 연구자들만 읽는 책이라는 비아냥도 있다. 이렇게 읽지 않는 책인 고전이 어떻게 누구나 알고 있는책이 되었는가? 이는 고전의 존재방식을 살펴보면 이해가 된다. 읽지 않아도 현재의 일상생활,생각,의식,문화,경제,사회,제도 등 여러 측면에 큰 영향을 이미 끼치고 잇다. 둘째는 끊임없이 새로운 변형태의 생산 및 수용에 있다.서유기만 하더라도 고우영 서유기,허영만 날아라 슈퍼보드, 일본만화 드래곤 볼로 오늘날 많은 변형이 있다. 이쯤되면 우리는 고전의 원본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고전의 원본은 과연 존재하는가? 명의 사대기서 즉, 명나라 통속 장편소설의 원본은 존재하는가? 삼국지통속연의(정사 삼국지),수호전(송나라 선화연간 1119-1125년 송간의 반란기사가 모티브임. 금병매믄 수호전에서 무송이 서문경을 살해한 이야기를 변형,확장함. 서유기는 삼장법사 즉, 진현장이 인도에 다녀온 이야기에 환타지 모티브를 결합한 것이다. 금병매를 제외한 명나라 장편 통속소설은 역사 속에서 긴 형성의 과정을 거쳤으며 원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은 끊임 없이 형태를 바꾸며 존재하는 것이다.
고전이란 무엇인가? 古典, 모범이 되는 훌륭한 글을 책상 위에 정성스럽게 모셔둔 형상,경전,전범의 의미도 있다.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실제로는 극소수의 연구자들만 읽는 책이라는 비아냥도 있다. 이렇게 읽지 않는 책인 고전이 어떻게 누구나 알고 있는책이 되었는가? 이는 고전의 존재방식을 살펴보면 이해가 된다. 읽지 않아도 현재의 일상생활,생각,의식,문화,경제,사회,제도 등 여러 측면에 큰 영향을 이미 끼치고 잇다. 둘째는 끊임없이 새로운 변형태의 생산 및 수용에 있다.서유기만 하더라도 고우영 서유기,허영만 날아라 슈퍼보드, 일본만화 드래곤 볼로 오늘날 많은 변형이 있다. 이쯤되면 우리는 고전의 원본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다. 고전의 원본은 과연 존재하는가? 명의 사대기서 즉, 명나라 통속 장편소설의 원본은 존재하는가? 삼국지통속연의(정사 삼국지),수호전(송나라 선화연간 1119-1125년 송간의 반란기사가 모티브임. 금병매믄 수호전에서 무송이 서문경을 살해한 이야기를 변형,확장함. 서유기는 삼장법사 즉, 진현장이 인도에 다녀온 이야기에 환타지 모티브를 결합한 것이다. 금병매를 제외한 명나라 장편 통속소설은 역사 속에서 긴 형성의 과정을 거쳤으며 원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은 끊임 없이 형태를 바꾸며 존재하는 것이다.
[서유기]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
세계의 구조
1.지상의 구조
인간과 요마들이 존재하는 공간으로서 동능신구, 서우하구, 남섬부주, 북구조주위 지상 4대륙이 존재함(불교의 세계관)
2. 천상의 세계
옥황상제, 오방의 주재자, 삼청. 오두성광, 태을천선, 구루, 지장왕보살 등
1) 옥황상제 : 가장높은 존재(명목상)
2) 오방의 주재자 : 서천(서가), 남방(남주관옴), 동방(숭은 성제)
북방(북극 현령), 중앙(황주황각대선)
3) 삼청의 존재 : 천보군, 태상도군, 도교의 삼청신화 바탕
4) 오두성관, 태을천선, 구루, 지장왕보상
3. 지하세계
명부(저승)와 용궁이 있음. 명부는 지상의 존재가 죽어서 가는 곳으로써 염라대왕이 관장하고 용궁은 육지와 대비되는 물의 세계로서 용왕이 다스림.
통합세계의 특징
1. 불교와 도교의 최고신들이 함께 등장하며, 개별적으로 전문화된 영역과 능력을 갖춤.
2. 천상과 지하의 세계 모두 중국의 전통적인 관료적 위계질서를 그대로 체현홤.
세계의 구조
1.지상의 구조
인간과 요마들이 존재하는 공간으로서 동능신구, 서우하구, 남섬부주, 북구조주위 지상 4대륙이 존재함(불교의 세계관)
2. 천상의 세계
옥황상제, 오방의 주재자, 삼청. 오두성광, 태을천선, 구루, 지장왕보살 등
1) 옥황상제 : 가장높은 존재(명목상)
2) 오방의 주재자 : 서천(서가), 남방(남주관옴), 동방(숭은 성제)
북방(북극 현령), 중앙(황주황각대선)
3) 삼청의 존재 : 천보군, 태상도군, 도교의 삼청신화 바탕
4) 오두성관, 태을천선, 구루, 지장왕보상
3. 지하세계
명부(저승)와 용궁이 있음. 명부는 지상의 존재가 죽어서 가는 곳으로써 염라대왕이 관장하고 용궁은 육지와 대비되는 물의 세계로서 용왕이 다스림.
통합세계의 특징
1. 불교와 도교의 최고신들이 함께 등장하며, 개별적으로 전문화된 영역과 능력을 갖춤.
2. 천상과 지하의 세계 모두 중국의 전통적인 관료적 위계질서를 그대로 체현홤.
[서유기]낯선 세계로 떠나는 모험의 기록
서유기는 통합세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통합세계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세계관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유기의 세계는 다양한 세계관이 혼재되어 있다. 하나의 일관된 세계관, 체계적인 세계관이 아니라, 도교와 불교의 세계관이 혼재되어 있다. 도교와 불교의 세계관의 여러 신이나 존재들 그리고 우주의 구조가 각각 일관된 세계가 아니라 각각의 영역에 다른 존재가 있는 것으로 혼합되어 있다.
서유기의 세계는 지상, 지하, 천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영역과 역할을 가지면서 공존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상에는 인간과 요마들이 공존하여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지하의 세계는 염라대왕이 다스리는 세상이 존재하고, 물의 경우에는 바다읭 경우에는 용왕이 다스리고 있고, 각각의 강과 물에 그곳의 영역을 지배하는 존재가 있다.
천상의 세계에는 명목상의 최고 높은 신으로써 옥황상제가 있고, 각각의 지역을 다스리거나 관할하는 신들이 있다. 예를 들어 서천의 경우에는 석가가 다스리는 것과 같이 각각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서유기는 통합세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통합세계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세계관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유기의 세계는 다양한 세계관이 혼재되어 있다. 하나의 일관된 세계관, 체계적인 세계관이 아니라, 도교와 불교의 세계관이 혼재되어 있다. 도교와 불교의 세계관의 여러 신이나 존재들 그리고 우주의 구조가 각각 일관된 세계가 아니라 각각의 영역에 다른 존재가 있는 것으로 혼합되어 있다.
서유기의 세계는 지상, 지하, 천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영역과 역할을 가지면서 공존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상에는 인간과 요마들이 공존하여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지하의 세계는 염라대왕이 다스리는 세상이 존재하고, 물의 경우에는 바다읭 경우에는 용왕이 다스리고 있고, 각각의 강과 물에 그곳의 영역을 지배하는 존재가 있다.
천상의 세계에는 명목상의 최고 높은 신으로써 옥황상제가 있고, 각각의 지역을 다스리거나 관할하는 신들이 있다. 예를 들어 서천의 경우에는 석가가 다스리는 것과 같이 각각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인문학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Q정전] 중국의 민족혼 루쉰이 말하는 인간본성 (0) | 2014.02.21 |
---|---|
[소동파시선]하늘이 내린 문장가 소동파(蘇東坡)가 말하는 삶 (0) | 2014.02.21 |
[초한지] 항우와 유방, 두 영웅의 패권을 향한 치열한 전투 (0) | 2014.02.21 |
[수호전]대륙 위에 그려진 108 영웅호협들의 이야기 (0) | 2014.02.21 |
[삼국지연의] 삶에 대한 철학과 지혜가 담겨 있는 인생의 교과서 (0) | 2014.02.21 |